'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40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5

장례식장 고르는 법 선택 기준과 유의 사항,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장례를 처음 치르게 되거나 경망 중에 장례식장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느 장례식장에 빈소를 모셔야 할지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고인이 돌아가시면 가장 처음으로 결정해야 할 문제가 바로 장례식장인데요, 오늘은 장례식장 고르는 기준인, 조문객 수, 빈소크기, 비용, 지역, 주차, 대중교통등에 따른 장례식장 선택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장 고르는 법1. 빈소와 접객실의 크기생전에 고인이 연고가 많거나, 유가족의 지인이 많은 경우라면 당연히 조금은 비용이 비싸더라도 큰 빈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유족 간의 조문객수를 협의하신 후 결정하셔야 합니다. 빈소는 너무 크고 조문객이 없다면 보기에 좋지 않을 수 있으며, 빈소는 너무 작은데 조문객 수가 많다면 조문객들을 제대로 대접하지 못.. 2023. 9. 11.
세계 역대 최악 최대 규모 피해 지진과 불의 고리 및 한국의 지진 2023년 9월 8일(현지시간) 오후 11시 11분경 북아프리카 모로코 중부 지역인 마라케시 남서쪽 약 71km 지점에서 규모 6.8의 강진이 발생해 이미 2천 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사상자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1900년대 이후 발생한 세계 역대 최악의 지진들의 규모와 피해정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이티 대지진 발생 일시 : 2010년 1월 12일 피해 규모 : 사망자 30만 명 진앙지 : 아이티 수도 포트프랭스 근처에 위치한 플레이트 경계 부분 지진 규모 : 7.0 ~ 7.3 아이티의 수도인 포트포랭스와 주변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이 지역의 재난의 규모와 심각성을 드러내며 국제사회의 인도적 도움과 재건 노력에 대한 필요성을 절실히 알려준.. 2023. 9. 10.
참소라와 삐뚤이소라 구분법과 차이점 및 소라독 제거방법 손질법 참소라와 삐뚤이는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는 소라 중 하나입니다. 맛도 생김새도 비슷한 이 두 소라는 일반인들에게는 언뜻 보면 구분하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참소라와 삐뚤이소라의 구분 방법과 차이점, 소라독 제거 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소라제철 : 3월 ~ 6월 칼로리 : 87kcal (100g 기준) 1. 참소라의 안쪽은 붉은 갈색빛이 입뚜껑이 있는 부위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2. 표면이 삐뚤이소라에 비해 거칠고 어둡습니다. 3. 삐둘이소라에 비해 짧고 뚱뚱해 보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큽니다. 4. 쫄깃한 살을 씹으면 씹을수록 단맛이 납니다. 삐뚤이소라제철 : 3월 ~ 6월 칼로리 : 80kcal (100g 기준) 1. 삐뚤이소라의 안쪽은 참소라.. 2023. 9. 10.
소라의 종류 참소라 삐뚤이 전복소라 뿔소라 백골뱅이 특징 영양성분 수산시장이나 횟집에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소라가 참소라와 삐뚤이, 뿔소라입니다. 오늘은 참소라, 삐뚤이, 전복소라, 뿔소라, 백골뱅이 등 다양한 소라 종류의 특징, 제철, 영양성분, 칼로리, 효능, 소라독, 쓸개 제거법, 손질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참소라 참소라는 삐뚤이소라와 함께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소라 중 하나입니다. 제철 : 3월 ~ 6월 칼로리 : 87kcal (100g 기준) 우리가 가장 흔히 아는 일반적인 소라의 모양을 갖추고 있으며, 참소라의 안쪽은 흰색보다 붉은빛이 돌며 주둥이 쪽이 넓은 것이 특징입니다. 테트라민이라는 독성이 있는 타액선과 쓴맛을 내는 쓸개를 제거해서 드셔야 합니다. 독이 있는 소라 : 참소라, 삐뚤이소라, 전복소라, 털골뱅이.. 2023. 9. 8.
대하와 흰다리새우 구분법과 차이점 및 영양성분 광어와 도다리처럼 언뜻 보면 구분하기 어려운 것이 바로 대하와 흰다리새우입니다. 많은 분들이 흰다리새우를 대하로 착각하고 드시기도 하는데요, 가장 큰 차이는 선어냐 활어냐의 차이일지도 모릅니다. 자연산만 나오는 대하를 활어로 드시기는 힘든 것이 현실이니까요. 오늘은 구체적인 대하와 흰다리새우의 구분법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하 국내의 대하유통은 양식이 아닌 자연산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물 어업을 통해서 잡아 올리기 때문에 수분이내로 죽게 됩니다. 가끔 활 대하가 유통되기도 하지만, 전체 유통량의 1%도 되지 않으며, 우리가 구매하게 될 자연산 대하는 대부분 죽은 모습의 '선어'입니다. 따라서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흰다리새우처럼 살아있는 '활어'의 상태가 아닌 죽어 있는.. 2023. 9. 7.
버터의 유래와 종류 및 칼로리와 영양성분, 버터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버터 역시 일반 식용유만큼이나 한국인의 주방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식재료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버터의 종류도 다양하고 집에서 흔히 쓰이는 식용유만큼 친숙한 재료가 아니어서 어떤 음식에 어떤 종류의 버터를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하실 때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버터의 유래와 만들어지는 방법, 그리고 그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버터의 유래 버터의 유래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그 기원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역사적 단서와 지역적 차이로 그 기원을 찾아볼 수는 있습니다. 1. 바빌로니아와 고대 인도 버터의 기원은 BC 3000년경의 바빌로니아와 고대 인도로 추정됩니다. 바빌로니아에서는 버터를 만든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고대 인도에서는 우유를 교반(.. 2023.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