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치 종류 세멸 자멸 소멸 중멸 대멸 디포리 죽방멸치 효능 부작용
칼슘의 왕 멸치는 생멸치를 기준으로 100g당 칼슘이 509mg이나 들어 있는데, 이것은 칼슘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우유의 5배 정도가 많고, 시금치 보다도 10배가 많은 수준이라고 합니다. 멸치는 생, 건조, 발효, 가루, 액젓 등 활용도가 좋아 전 세계에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 오늘은 크기에 따른 멸치의 종류, 죽방멸치, 멸치똥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멸치 종류 청어목 멸칫과의 바닷물고기로 대부분 연안에 서식하며, 전 세계적으로 8종이 존재하는데 멸치는 크기에 따라 불리는 이름이 다릅니다. 1. 세멸 (지리멸치) 멸치 중 가장 작은 종류로 1.5cm 이하의 멸치를 말하며, 8월~10월에 어획됩니다. 주로 유아나 어린이를 위한 볶음 멸치로 사용됩니다. 2. 자멸 (가이리멸치) 1.6cm~..
2023. 12. 3.
골뱅이 종류 백고둥 흑골뱅이 큰구슬우렁이 코고둥 털골뱅이 특징 효능
한국은 세계적으로 골뱅이를 즐겨 먹는 거의 유일한 나라로, 전 세계 골뱅이 생산량의 90% 이상을 소비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물레고둥, 참골뱅이, 백골뱅이라고 불리는 백고둥, 깊은골물레고둥, 논골뱅이라고도 불리는 흑골뱅이, 서해골뱅이라고 불리는 큰구슬우렁이, 각시수랑이라고도 불리는 코고둥, 콩깍지 고둥이라 불리는 털골뱅이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골뱅이는 사투리로 물에 사는 고둥류를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백고둥 (백골뱅이) 흔히 백골뱅이, 참골뱅이로 불리며 표준명은 물레고둥으로, 동해안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단가가 비싼 고급 종으로 부드럽고 달콤한 맛이 일품이며, 주로 삶거나 쪄서 숙회나 무침 요리로 먹습니다. 물레고둥과의 골뱅이는 껍질이 얇아서 깨지기 쉬우며, 독이 없어서 내장까지 통으로 먹어도 문제가..
2023. 11. 28.
소고기 장조림 부위 홍두깨살 우둔살 사태 양지머리 및 돼지고기 부위
장조림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는 사태나 설도, 우둔살, 홍두깨살, 양지머리 등 대체로 지방함량이 적으며 운동량이 많고 결합조직이 많아 질긴 부위들이 주를 이룹니다. 오늘은 소고기 장조림을 만들 때 사용되는 부위들의 종류별 특징과 돼지고기 장조림 부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조림 장조림은 고기를 간장에 조린 요리로 소고기는 우둔살, 사태, 설도, 홍두깨살, 돼지고기는 등심, 안심, 뒷다리살(후지) 등 지방 없는 부위를 주로 쓰고, 결합 조직의 씹는 맛을 즐길 목적이라면 돼지 앞다리살 장조림이나, 닭가슴살 장조림 등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소고기 안심이나 등심을 이용하면 장조림이 특히 연해지며, 아롱사태 같이 구워 먹어도 맛이 좋은 부위를 사용하면 그 맛이 더욱 빼어납니다. 하지만..
2023.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