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법'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구분법5

대구와 명태의 차이점 구분법 입모양 아래턱 수염 유무 용도 대구와 명태는 한류성 어종으로 대구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며, 흰 살 생선의 대표생선으로, 모두 등지느러미가 3개 아랫지느러미가 2개인 것이 특징입니다. 오늘은 명태와 대구의 주요 차이점인 입모양, 아래턱 수염 유무, 서식지, 맛과 요리 용도, 영양성분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종류와 분류명태학명: Theragra chalcogramma속하는 과: 대구과(Gadidae)주요 서식지: 북태평양 (특히 한국 동해, 러시아, 알래스카 근방) 대구학명: Gadus morhua속하는 과: 대구과(Gadidae)주요 서식지: 북대서양 (특히 유럽 북부,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 2. 외형적 특징대구와 명태는 모두 등지느러미 3개와 아랫지느러미(뒷지느러미)가 2개로, 언뜻 보면 체구만 다르지 비.. 2024. 11. 29.
미더덕 오만둥이 특징 제철 차이점 구분법 공통점 손질법 미더덕은 3월 ~ 5월이 제철이고, 오만둥이는 9월 ~ 12월이 주 제철이나, 생산과정이 까다롭지 않아 연중 보다 싼 가격에 맛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생김새와 크기, 사용되는 요리등이 비슷해 그냥 미더덕이라 통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차이점, 구분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더덕미더덕의 특징과 오만둥이와의 차이점 1. 3~5월이 제철2. 오만둥이보다 긴 타원형으로 한쪽 끝에 자루가 달려 있고, 대부분 겉껍질을 벗겨낸 황갈색의 매끈한 상태로 유통됩니다. 3. 물의 옛말인 '미'와 '더덕'을 합친 말로  '물에서 나는 더덕'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 껍질을 제거한 후 먹는다는 점과 생김새, 영양 성분이 풍부하다는 점이 이럼처럼 더덕과 닮은 점이 있습니다.. 2024. 5. 30.
당귀와 신선초의 특징 및 차이점 구분법 영양성분 효능 부작용 쌈채소 중에 한약재 향이 나는 채소는 신선초와 당귀가 있습니다. 간혹 같은 채소로 오해하기도 하는데, 비슷한 한약재 향이 나기는 하지만 당귀는 잎이 얇고 윤기가 나며 향이 강하고, 신선초는 줄기가 두껍고 잎이 크고 의외로 향은 그다지 강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당귀와 신선초의 특징 및 차이점, 구분법, 영양성분과 효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당귀의 특징 당귀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식물로, 그 향도 한약방에서 흔히 맡을 수 있는 한약 냄새가 강하게 나는 것이 특징이며, 주로 여성 건강에 도움을 주는 데 사용되는 한약재이자, 쌈채소입니다. 당귀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줄기는 자줏빛을 띠고 화이트에서 핑크색의 꽃을 피웁니다. 잎은 우상 복엽이고, 2∼3회 갈라진 작은 잎들이 모여 나타나며, 가장.. 2023. 10. 12.
홍어와 가오리의 구분법과 차이점 광어와 도다리처럼, 홍어와 가오리 역시 그 생김새가 비슷하여, 일반인들은 쉽게 구분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뚜렷한 차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오늘은 호불호가 극명하게 갈리는 수산물 중 하나인 홍어와 가오리의 구분법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홍어 1. 홍어는 몸이 마름모꼴로 머리 부분이 뾰족하게 빠져있습니다. 2. 홍어의 배는 등 부위와 색깔이 비슷한 암적색을 띠거나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습니다. 3. 꼬리가 짧고 굵은 편이며 꼬리에 지느러미가 있습니다. 가오리 1. 가오리는 원형 또는 오각형으로 전체적으로 몸이 둥그스름하고 머리 부분이 홍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져 있지 않고 둥그스러운 편입니다. 2. 가오리의 배는 자연산 광어처럼 하얗습니다. 가장 구분하기 쉬운 특징입니다. 가오리의 .. 2023. 6. 9.
농어와 황어 구분법과 차이점 광어와 도다리처럼, 농어와 황어도 그 생김새가 비슷하여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매우 쉬운 구별법이 있습니다. 잔가시가 많고 맛이 없는 황어를 구분해 내야 맛있는 농어를 황어라 착각해서 방생하는 우를 범하지 않겠지요?   농어 농어는 회로 먹을 수 있으며, 식감이 비교적 물러 호불호가 있습니다. 잔가시는 없지만 큰 생선인 만큼 가시가 크고 억센 편이고, 6~8월이 제철입니다. 1. 농어는 참돔이나 우럭처럼 등지느러미에 가시가 있습니다. 2.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게 빠져 있습니다.- 농어의 먹이인 새우 등이 수중의 중상층 부에 살고 있기 때문에 먹이 사냥에 유리하게 발달되다 보니 이런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3. 농어의 배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간격이 긴 편입니다.   황어 잉어과에.. 2023.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