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능'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효능20

보리수 열매 효능 부작용 뽀리똥 보리똥 보리화주 볼레나무 최근 보리수 열매(또는 뽀리똥, 보리똥)가 건강 효능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특히 기관지 질환, 피로 회복, 소화 개선 등 다양한 건강 문제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이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보리수 열매의 주요 효능과 부작용, 섭취 시 주의사항, 다른 이름과 활용법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리수 열매란? 학명: Elaeagnus umbellata (보리수나무) 다른 이름: 뽀리똥, 보리똥, 보리수나무, 보리화주나무, 볼레나무 식물 분류: 장미목 보리수나무과의 낙엽 관목 열매 특성: 5 ~ 6월 붉게 익으며, 표면에 흰 비늘·반점 있음. 덜 익으면 떫고 앵두처럼 속에 작은 씨가 있음 주요 효능1. 면역력 증진 & 항산화보리수 열매는 비타민C, 폴리페놀, 리코펜이 풍부해 .. 2025. 6. 24.
두릅 종류 참두릅 개두릅 엄나무 새순 땅두릅 독활 손질법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해서 봄의 보약, 산나물의 왕이라 불리는 두릅은 4월 ~ 5월이 제철이며, 봄철 입맛을 돋우기에 아주 좋은 나물입니다. 오늘은 새순이 나는 곳에 따라 참두릅, 개두릅, 땅두릅으로 나뉘는 두릅의 종류와 효능, 손질법, 보관법 등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두릅두릅은 일반적으로 4월에서 5월이 제철이나, 하우스 재배로 인해 빠른 시기엔 2월 말부터도 그 맛을 볼 수가 있습니다.  두릅은 씁쓸한 맛과 향이 특징이며, 예전에는 야생에서만 채취하였으나 그 수요가 늘어나면서 하우스 재배를 통해 봄에서 가을까지 맛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살짝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는 게 대표적이지만 요즘에는 튀김 또는 나물 등 여러 음식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 2025. 1. 8.
굴 종류 제철 효능 참굴 강굴 벚굴 갓굴 떡굴 바위굴 토굴 우리가 먹는 굴의 종류는 대부분 참굴이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고, 통영과 거제 지역에서 양식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양식, 자연산 할 것 없이 껍질을 벗긴 굴을 '알굴', '깐굴'이라 부르며, 껍질채 있는 것을 '석화'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다양한 굴의 종류와 특징,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굴 제철은?굴은 9월 중순부터 다음 해 4월까지가 제철이며, 5월부터 8월까지는 산란기로 굴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아시아에서는 "보리가 피면 굴을 먹어선 안 된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굴의 섭취 시기를 신중히 고려했습니다.  유럽과 미국에서도 R이 들어가지 않은 달인 5월부터 8월까지는 굴 섭취를 피하는 전통이 있으며, 이를 "A자로 시작하는 달"을 기준으로 해석하기도 .. 2024. 10. 10.
문어 다리 개수 제철 삶는법 고르는법 손질법 효능 문어의 제철은 11월 ~ 4월까지로 특히, 1월 ~ 2월에 잡히는 문어를 최고로 쳐줍니다. 산란기를 앞두고 영양분을 많이 비축했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 차가워진 온도에서 버티기 위해 살을 찌웠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제철 문어 삶는 법, 문어 다리개수, 고르는 법, 손질법,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어 다리개수문어, 낙지, 주꾸미, 오징어, 한치, 꼴뚜기 등 연체동물의 다리 개수를 쉽게 알기 위해서는 문어과와 오징어과로 먼저 구분을 해야 합니다.  문어과와 오징어과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바로 머리 모양입니다. -  머리에 삼각형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면 오징어과 그렇지 않으면 문어과입니다.   다리개수종류 특징문어과8개문어, 낙지, 주꾸미머리모양이 둥글고 삼각형 지느러미가 없음오징어과1.. 2024. 9. 24.
코끼리마늘 웅녀마늘 대왕마늘 무취마늘 맛 향 효능 부작용 코끼리마늘은 웅녀마늘, 대왕마늘, 황제마늘, 무취마늘이라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일반 마늘보다 종자의 크기가 약 10배가량 큰 것이 특징입니다. 오늘은 일반 마늘처럼 아린 맛보다는 쓴맛과 양파와 마늘의 중간 정도 되는 맛을 가지고 있는 코끼리마늘의 특징과 효능 부작용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끼리마늘 특징코끼리마늘의 향은 마늘향, 파향, 양파향, 풋내 등이 다양하게 섞여 있으며, 맛은 양파와 마늘의 중간 정도 되며, 마늘종 부위의 맛은 서양 대파로 불리는 리크와 흡사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으로 먹기보단 익혀 먹는 것이 먹기 편하고 단맛이 두드러지게 됩니다. - 에어후라이기에 익혔을 경우 군고마처럼 고소하고 단맛이 나타나며, 기름이나 물에 익혔을 경우에는 삶은 감자 맛이 나게 됩니다... 2024. 7. 8.
부지깽이나물밥 만드는법 울릉도 취나물 섬쑥부쟁이 효능 부지깽이나물은 천동초, 명천동, 혹하지 꽃, 울릉도 취나물, 쑥부쟁이 나물 이라고도 불리는 두해살이 풀입니다. 흔히 우리가 취나물이라 부르는 '참취' 즉 '미역취'와는 엄연히 다른 종입니다. 오늘은 울릉도의 특산품 중에 하나인 부지깽이나물의 특징과 효능, 부지깽이나물밥 만드는 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지깽이나물 특징 부지깽이나물은 '섬쑥부쟁'이라고도 불리는데,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울릉도와 일본에서 자라며 울릉도에 집단적으로 자생하고 있습니다. 쑥부쟁이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데, '개쑥부쟁이'는 해변가에 자생하고, '섬쑥부쟁이'는 울릉도에, 그 외 제주도엔 제주도 쑥부쟁이인 '드릇국화'가 있습니다. 부지깽이는 '섬쑥부쟁이'를 울릉도에서 부르는 이름으로 산채 또는 재배하여 나물로 먹거.. 2024.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