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질법'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손질법12

두릅 종류 참두릅 개두릅 엄나무 새순 땅두릅 독활 손질법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해서 봄의 보약, 산나물의 왕이라 불리는 두릅은 4월 ~ 5월이 제철이며, 봄철 입맛을 돋우기에 아주 좋은 나물입니다. 오늘은 새순이 나는 곳에 따라 참두릅, 개두릅, 땅두릅으로 나뉘는 두릅의 종류와 효능, 손질법, 보관법 등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두릅두릅은 일반적으로 4월에서 5월이 제철이나, 하우스 재배로 인해 빠른 시기엔 2월 말부터도 그 맛을 볼 수가 있습니다.  두릅은 씁쓸한 맛과 향이 특징이며, 예전에는 야생에서만 채취하였으나 그 수요가 늘어나면서 하우스 재배를 통해 봄에서 가을까지 맛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살짝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는 게 대표적이지만 요즘에는 튀김 또는 나물 등 여러 음식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 2025. 1. 8.
문어 다리 개수 제철 삶는법 고르는법 손질법 효능 문어의 제철은 11월 ~ 4월까지로 특히, 1월 ~ 2월에 잡히는 문어를 최고로 쳐줍니다. 산란기를 앞두고 영양분을 많이 비축했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 차가워진 온도에서 버티기 위해 살을 찌웠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제철 문어 삶는 법, 문어 다리개수, 고르는 법, 손질법,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어 다리개수문어, 낙지, 주꾸미, 오징어, 한치, 꼴뚜기 등 연체동물의 다리 개수를 쉽게 알기 위해서는 문어과와 오징어과로 먼저 구분을 해야 합니다.  문어과와 오징어과를 쉽게 구분하는 방법은 바로 머리 모양입니다. -  머리에 삼각형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면 오징어과 그렇지 않으면 문어과입니다.   다리개수종류 특징문어과8개문어, 낙지, 주꾸미머리모양이 둥글고 삼각형 지느러미가 없음오징어과1.. 2024. 9. 24.
미더덕 오만둥이 특징 제철 차이점 구분법 공통점 손질법 미더덕은 3월 ~ 5월이 제철이고, 오만둥이는 9월 ~ 12월이 주 제철이나, 생산과정이 까다롭지 않아 연중 보다 싼 가격에 맛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생김새와 크기, 사용되는 요리등이 비슷해 그냥 미더덕이라 통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차이점, 구분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더덕미더덕의 특징과 오만둥이와의 차이점 1. 3~5월이 제철2. 오만둥이보다 긴 타원형으로 한쪽 끝에 자루가 달려 있고, 대부분 겉껍질을 벗겨낸 황갈색의 매끈한 상태로 유통됩니다. 3. 물의 옛말인 '미'와 '더덕'을 합친 말로  '물에서 나는 더덕'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 껍질을 제거한 후 먹는다는 점과 생김새, 영양 성분이 풍부하다는 점이 이럼처럼 더덕과 닮은 점이 있습니다.. 2024. 5. 30.
키조개 제철 산란기 금어기 고르는법 손질법 효능 부작용 키조개의 제철은 4월 ~ 5월로, 봄철에 어울리는 영양만점 별미로 전복, 대합과 함께 3대 고급 패류로 대접을 받고 있는데, 특히 관자는 키조개 부위 중에서 가장 맛이 뛰어나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 오늘은 키조개의 특징, 산란기, 금어기, 고르는 법, 손질법, 효능, 부작용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조개 특징 1. 키조개의 관자(패주)는 쫀득하고 부드러우며, 고소하고 단맛이 특징입니다. 일반 조개들은 주로 살을 먹지만, 키조개는 살 보다 주로 관자를 먹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 관자의 맛이 달고 산뜻해 회, 초밥, 무침, 구이, 전, 샤브샤브, 죽, 탕 등의 다양한 방법의 조리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2. 키조개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질이 우수한 저칼로리 식품으로 간의 해독능력 또한 우수하.. 2024. 2. 28.
냉이 제철 캐는 시기 겨울냉이 봄냉이 구별법 손질법 보관법 냉이는 봄이 왔구나 하는 순간 꽃이 피어 버리기 때문에 봄나물 중에 가장 빨리 캐는 편입니다. 요즘은 시설 재배로 인해 사시사철 냉이를 맛볼 수 있지만, 제철 냉이의 향과 맛을 따라갈 순 없는 듯합니다. 오늘은 제철 냉이 캐는 시기와 손질법, 보관법, 들풀과 구별법, 효능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냉이 제철일반적으로 제철 냉이라고 해서 3월 ~ 4월 봄에 많이 먹는 걸로 생각하겠지만 지역적으로 차이도 있고, 기후 온난화로 인한 영향도 있어 지금은 3월 ~ 4월이 냉이 제철이고, 4월 ~ 5월에 꽃이 핀다고 하는 말은 옛말이 되어 버린 지 오래인듯합니다.  요즘은 1월 ~ 2월이 제철인곳이 많고, 3월이면 꽃이 만개하는 걸 쉽게 볼 수 있습니다. - 지역적인 차이 일 수도 있지만, 타 지역에 .. 2024. 2. 26.
조기 제철 고르는법 손질법 냉동조기 굽는법 조기는 사람의 기를 올려주는 생선이라고 해서 조기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조기의 제철은 일반적으로 9월 ~ 12월까지 이지만 산란기인 금어기를 제외하면 모두 제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조기 고르는 법, 손질법, 냉동조기 부서지지 않게 굽는 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기 고르는 법 조기는 참조기, 부세조기, 침조기, 수조기, 백조기, 민어조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오징어, 명태, 고등어와 같이 소비량 순위에서 어깨를 나란히 하는 생선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굴비는 조기를 소금에 절여 해풍에 말린 가공품으로, 대량으로 잡히는 조기를 보관하는 방법에서 유래하였지만, 지금은 오히려 조기라는 이름보다 조기의 대명사처럼 굴비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되곤 합니다. 특히 이 다양한 조기 중 참.. 2024.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