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관법'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보관법9

두릅 종류 참두릅 개두릅 엄나무 새순 땅두릅 독활 손질법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도 풍부해서 봄의 보약, 산나물의 왕이라 불리는 두릅은 4월 ~ 5월이 제철이며, 봄철 입맛을 돋우기에 아주 좋은 나물입니다. 오늘은 새순이 나는 곳에 따라 참두릅, 개두릅, 땅두릅으로 나뉘는 두릅의 종류와 효능, 손질법, 보관법 등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두릅두릅은 일반적으로 4월에서 5월이 제철이나, 하우스 재배로 인해 빠른 시기엔 2월 말부터도 그 맛을 볼 수가 있습니다.  두릅은 씁쓸한 맛과 향이 특징이며, 예전에는 야생에서만 채취하였으나 그 수요가 늘어나면서 하우스 재배를 통해 봄에서 가을까지 맛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살짝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는 게 대표적이지만 요즘에는 튀김 또는 나물 등 여러 음식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참.. 2025. 1. 8.
미더덕 오만둥이 특징 제철 차이점 구분법 공통점 손질법 미더덕은 3월 ~ 5월이 제철이고, 오만둥이는 9월 ~ 12월이 주 제철이나, 생산과정이 까다롭지 않아 연중 보다 싼 가격에 맛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 생김새와 크기, 사용되는 요리등이 비슷해 그냥 미더덕이라 통칭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차이점, 구분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더덕미더덕의 특징과 오만둥이와의 차이점 1. 3~5월이 제철2. 오만둥이보다 긴 타원형으로 한쪽 끝에 자루가 달려 있고, 대부분 겉껍질을 벗겨낸 황갈색의 매끈한 상태로 유통됩니다. 3. 물의 옛말인 '미'와 '더덕'을 합친 말로  '물에서 나는 더덕'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 껍질을 제거한 후 먹는다는 점과 생김새, 영양 성분이 풍부하다는 점이 이럼처럼 더덕과 닮은 점이 있습니다.. 2024. 5. 30.
참외 제철 고르는법 보관법 먹는법 효능 부작용 참외는 6월부터 8월까지로 여름 제철 과일이지만, 하우스 참외의 발달로 인해 일 년 내내 즐길 수 있는 과일이 되었습니다. 참외 재배 면적과 소비량이 조금씩 감소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과일임에는 분명합니다. 오늘은 참외 고르는 법, 보관법, 먹는 법, 효능, 부작용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외 제철 농업 기술의 발전으로 참외는 이제 여름 외에도 일 년 내내 즐길 수 있는 과일이 되었습니다. 더욱이 봄에는 수요가 높아 가격이 상승하는 정도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여름이 참외의 정식 제철이기 때문에, 6월에 수확된 것을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013년 경북대 농학지에 기록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6월에 수확된 참외는 다른 시기에 비해 항산화 활성과 기능성 성분 함량이 풍.. 2024. 3. 15.
청어 꽁치 과메기 종류 차이점 맛 식감 가격 효능 부작용 과메기는 경상북도 포항의 구룡포에서 가장 유명하게 생산되며, 잘 손질된 꽁치나 청어를 차가운 겨울바람에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여 건조해 말린 음식입니다. 오늘은 담백함과 고소한 맛이 일품인 과메기의 종류와 맛, 식감, 가격 등과 같은 차이점, 효능, 부작용, 보관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메기란?과메기가 포항의 명물이 된 이유는 조선시대부터 포항에서 청어가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청어를 잡아 건조하여 만든 과메기는 그 맛으로 인해 임금님의 수라상에 올라갈 정도로 특별한 음식으로 소문이 났습니다.과메기는 주로 해풍에 말려 만들어지는데, 포항 구룡포의 해풍이 이를 말리기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과메기의 어원인 '관목(貫目)'이란 용어는 말린 청어를.. 2024. 2. 19.
소고기 장조림 부위 홍두깨살 우둔살 사태 양지머리 및 돼지고기 부위 장조림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는 사태나 설도, 우둔살, 홍두깨살, 양지머리 등 대체로 지방함량이 적으며 운동량이 많고 결합조직이 많아 질긴 부위들이 주를 이룹니다. 오늘은 소고기 장조림을 만들 때 사용되는 부위들의 종류별 특징과 돼지고기 장조림 부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조림 장조림은 고기를 간장에 조린 요리로 소고기는 우둔살, 사태, 설도, 홍두깨살, 돼지고기는 등심, 안심, 뒷다리살(후지) 등 지방 없는 부위를 주로 쓰고, 결합 조직의 씹는 맛을 즐길 목적이라면 돼지 앞다리살 장조림이나, 닭가슴살 장조림 등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소고기 안심이나 등심을 이용하면 장조림이 특히 연해지며, 아롱사태 같이 구워 먹어도 맛이 좋은 부위를 사용하면 그 맛이 더욱 빼어납니다. 하지만.. 2023. 11. 25.
새우젓 종류와 특징 풋젓 곤쟁이젓 오젓 육젓 추젓 보관방법 및 효능 새우젓은 어획시기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다르게 만들어지며,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새우젓은 풋젓, 오젓, 육젓, 자하젓, 추젓, 동백하젓인데, 6월에 잡은 육젓을 가장 최고로 칩니다. 오늘은 천연소화제라 불러도 좋을 만큼 소화에 좋은 식품인 다양한 새우젓 종류와 특징 그리고 보관방법 및 효능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풋젓풋젓의 어획 시기는 1부터 4월까지입니다. 특징적으로 새우의 살이 연하고 흰색을 띱니다. 이로 인해 다른 종류의 새우젓과 비교할 때 색상이 밝고 연한 편입니다.서해안 지역에서는 풋젓을 "데떼기젓"이나 "돗떼기젓"이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지역 이름 차이는 지역마다의 어획 및 제조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풋젓은 크기가 2cm 정도 되는 작은 .. 2023.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