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로 화폐를 찢거나 물에 빠트리는 실수는 주변에서 흔히 일어 나는 일입니다. 형체가 남아 있지 않아서 그대로 버리는 경우도 많고, 가져가 봤자 돈을 돌려받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손상화폐의 기준이 그렇게 까다롭지만은 않습니다. 오늘은 훼손된 지폐를 교환받을 수 있는 기준과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훼손된 지폐 교환기준
앞·뒷면을 모두 갖춘 은행권은 남아있는 면적의 크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액면금액의 전액 또는 반액으로 교환해 주거나 무효로 처리합니다.
전액으로 교환 : 남아있는 면적이 원래크기의 3/4 이상인 경우
반액으로 교환 : 남아있는 면적이 원래크기의 2/5 이상인 경우
무효로 처리 : 남아있는 면적이 원래크기의 2/5 미만인 경우
크기가 변형된 지폐 : 변형 전 크기로 환산하여 동일 기준 적용
조각을 이어 붙인 지폐 : 이어 붙인 면적의 크기에 따라 동일 기준 적용
손상 지폐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5만 원권이라고 합니다. 은행이 아니라 따로 현금을 집에 보관하시는 분들이 많아진 탓이라는데요, 이처럼 지폐를 잘못 보관할 경우, 습기나 해충에 의해 손상될 확률이 큽니다.
그러나 웬만큼 식별할 수 있다면 남아 있는 면적의 크게에 따라 교환을 받을 수가 있다고 합니다.
돈이 조각났더라고 이어 붙인 면적이 보상 기준을 충족하면 교환해 주지만, 종이 질과 채색이 달라져서 진짜 은행권인지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된 경우에는 보상이 어렵습니다.
불에 탄 지폐
물에 의한 손상이나 물리적 손실과 마찬가지로, 불에 탄 지폐 역시 남아 있는 면적에 따라 교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불에 탔을 경우에는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바로 지폐가 타고 남은 '재' 역시 은행권의 일부로 취급해 교환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바로 재의 상태입니다.
재를 버리면 안 되고 가급적 형태를 살려서 가지고 가야 합니다. 따라서 지갑이나 봉투, 가방째로 지폐가 타버렸을 경우에는 그대로 지폐의 재를 최대한 흐트러지지 않게 담아가 교환을 받으셔야 합니다.
만약 화재로 거액의 돈이 불에 타버린 경우라면, 관할 경찰서, 소방서, 기타 행정기관의 화재발생증명서 등을 함께 제출하면 교환금액을 판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손상된 주화
찌그러지거나 녹이 슬거나 기타 사유로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은 주화는 액면금액의 전액으로 교환하실 수 있습니다.
모양을 알아보기 어렵거나, 진위를 판별하기 곤란한 주화는 교환해 주지 않습니다.
훼손된 지폐 교환 방법
훼손정도가 크지 않은 지폐나 동전은 일반적으로 시중은행(우체국포함)에서 새 화폐로 교환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본인이 봐도 훼손정도가 크다면 본인 관할 지역 한국은행으로 가셔야 합니다.
서울에 있는 한국은행 본부뿐만이 아니라 전국 15곳에 한국은행 지역 본부가 있으니 온라인으로 찾아보시고 판단하기 어려운 돈은 한국은행 본부 또는 지역본부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한국은행에서는 훼손·오염 또는 마모 등의 사유로 유통에 적합하지 않은 화폐는 수수료를 받지 않고, 유통에 적합한 화폐로 교환해 주고 있는데, 1인당 1일 교환 한도가 있습니다.
은행권(지폐) | 주화(동전) | ||
5만원권 | 100만원 | 500원화 | 10만원(4롤) |
1만원권 | 50만원 | 100원화 | 2만원(4롤) |
5천원권 | 20만원 | 50원화 | 5천원(2롤) |
1천원권 | 20만원 | 10원화 | 1천원(2롤) |
훼손된 외국 화폐
외국 화폐도 훼손도가 크지 않으면 대부분 시중은행에서 환율을 따져서 그 돈에 해당되는 우리 돈으로 교환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훼손도가 크다면 우리나라 화폐와 마찬가지로 전액을 다 보상받기란 어렵습니다.
특히나 손상정도가 심한 외국 화폐일 경우에는 일반 시중은행도, 한국은행도 아닌 KEB하나은행에서만 처리가 가능합니다. 이때 하나은행에서도 해당나라에 돈을 보내봐야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지 여부를 확인을 할 수가 있습니다.
- 나라마다 교환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그 해당나라의 기준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진다면 환율적용 후 우리나라 화폐로 교환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