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 물질은 무엇이 있을까? 1군 2A군 2B군에 따른 대표적 물질은?
본문 바로가기
시사&연예

발암 물질은 무엇이 있을까? 1군 2A군 2B군에 따른 대표적 물질은?

by 요설남 2023. 7. 6.
반응형

얼마 전 국제 암연구소 (IARC)는 아스파탐을 7월 14일부터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하겠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바로 발암유발 물질 2B군으로 분류한다는 말인데요, 오늘은 이러한 발암유발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 소속군의 대표적인 물질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담배

 

발암 물질 분류 기준

국제 암연구소 (IARC)의 암을 유발시키는 물질의 등급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등급 분류 기준
발암 1군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실함 (126종)
- 인간에게 암유발의 인과 관계가 충분한 경우
발암 2A군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음 (94종)
- 인간에서 증거가 제한적이나 동물에서는 인과관계가 입증된 경우
발암 2B군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322종)
- 인간에서 증거가 제한적이고, 동물에서는 인과관계가 입증이 불충분한 경우
발암 3군 인간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음 (500종)
- 인간 및 동물에서 증거가 부족한 경우

 

- 위의 발암 등급별 물질의 종류는 2023년 5월 5일 국제 암연구소 (IARC) 업데이트 기준입니다.

 

발암물질 1군 리스트

발암 1군 리스트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확실한 물질로서, 우리가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술, 담배, 석면, 자외선, 라돈, 미세먼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그을음, 디젤 차량 배기가스, 엑스선등 총 126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햄이나 스팸같은 가공육은 물론이고 한국인이 자주 먹는 젓갈까지 발암 1군 리스트에 포힘 되어 있습니다. 

- 소금 자체는 발암물질이 아니지만, 소금의 아질산염이 젓갈의 단백질과 만나면 위암을 발생시크는 1군 발암물질이 생성된다고 합니다.

- 하지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소금을 많이 먹으면 위암에 걸릴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이죠, 그런데 소금은 발암물질에 넣지 않았다는 것은 어떠한 이유에서 어떠한 이유로 그런 것인지 쉽게 납득 가질 않는 부분입니다. 

 

 

만성 B형 바이러스, 만성 C형 바이러스, 방사선, 가죽분진, 정제되지 않은 미네랑 오일, 니켈 화합물, 아편, 페인트 작업, 고무제조 산업, 중국식 절인 생선, 태양광, 흡연, 간접흡연, 씹는담배, 태닝 기계 자외선, 용접 먼지, 나무 먼지, 감마선, 벤조피렌, 겨자향 가스, 페나세틴, 에탄올 음료, 술, 플루토늄, 아세트 알데히드 등등이 있습니다. 

 

Clonorchis sinensis (에 대한 감염)
헬리코박터균(에 의한 감염)
Opistorchis viverrini (에 감염)
주혈흡충 (에 감염)
애치슨 프로세스, 관련 직업상 노출
산성 연무, 강한 무기질
알코올 음료
알루미늄 생산
아레카넛
오라민 생산
벤지딘, 대사 된 염료
담배를 곁들인 베텔퀴드
담배를 피우지 않은 베텔퀴드
석탄 가스화
석탄, 가정용 연소로 인한 실내 배출물
코크스 생산
엔진 배기가스, 디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에스트로겐 치료, 폐경 후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갱년기 치료(복합)
에스트로겐-프로게스토겐 경구 피임약(결합)
소방관 (a로서의 직업 노출)
스트론튬-90을 포함한 핵분열 생성물
플루오로에덴산 섬유상 양막
해마타이트 채굴(지하)
B형 간염 바이러스(만성 감염)
C형 간염 바이러스(만성 감염)
인간 T세포 림프관 자극성 바이러스 I형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1형(감염)
인유두종바이러스(HPV) 16형
인간유두종바이러스(HPV) 18형
인유두종바이러스(HPV) 33형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유형 31, 35, 39, 45, 51, 52, 56, 58, 59
이온화 방사선(모든 유형)
철골 및 철골 기초(작업 중 노출)
강산을 이용한 이소프로필 알코올 제조
카포시 육종 헤르페스바이러스
가죽가루
알킬화제를 포함한 MOPP 및 기타 복합 화학 요법
마젠타 프로덕션
미처리 또는 순하게 처리된 미네랄 오일
중성자 복사
니켈 화합물
아편 소비
실외 공기 오염
실외 대기오염, 미세먼지 발생
화가(a로서의 직업 노출)
페나세틴, 다음을 포함하는 진통제 혼합물
다이옥신과 유사한 폴리염화비페닐, WHO(PCB 77, 81, 105, 114, 118, 123, 126, 156, 157, 167, 169, 189)에 따른 독성 당량 인자(TEF)가 있음
가공육(소비량)
요오드-131을 포함한 방사성 요오드
방사성핵종, 알파 입자 방출, 내부 퇴적물
방사성핵종, 베타 입자 방출, 내부 퇴적물
고무제조업
젓갈, 중국식
태양 복사(UVA, UVB 및 UVC를 포함하는 100–400 nm 파장 참조); 용접에 의한 자외선 복사; 및 자외선 방출 태닝
그을음(굴뚝 청소부의 작업상 노출에서 발견됨)
담배 연기, 중고품
흡연
담배, 무연
용접에서 발생하는 자외선(UVA, UVB 및 UVC를 포함하는 100–400 nm 파장 참조); 자외선을 방출하는 태닝 장치; 및 태양 복사)
자외선(UVA, UVB 및 UVC를 포함하는 파장 100–400 nm) (용접 시 자외선 복사, 자외선 차단 장치, 태양 복사 참조)
자외선 차단 장치(자외선(UVA, UVB 및 UVC를 포함하는 파장 100–400 nm); 용접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및 태양 복사)
용접 매연
나무가루
X-선 및 감마선
라돈-222 및 그 붕괴 생성물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MOCA)
타목시펜
1,3-부타디엔
라듐-224 및 그 붕괴 생성물
석면(액티놀라이트, 아모사이트, 안토필라이트, 크리소틸, 크로시돌라이트, 트레몰라이트를 포함한 모든 형태)
폴리염화비페닐
Semustine [1-(2-클로로에틸)-3-(4-메틸시클로헥실)-1-니트로수레아, 메틸-CCNU]
라듐-226 및 그 붕괴 생성물
누룩곰팡이 독소
인산염과 같은 인-32
멜팔란
석영 또는 크리스토발라이트 형태의 결정성 실리카 먼지
라듐-228 및 그 붕괴 생성물
N'-니트로소노르니코틴(NN) 및 4-(N-니트로소메틸아미노)-1-(3-피리딜)-1-부타논(NNK)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파라 다이옥신
크롬(VI) 화합물
메톡살렌(8-메톡시포랄렌) + 자외선 A 방사선
트레오술판
클로람부실
아리스톨로치산
Aristolochic acid, 함유된 식물
에토포사이드
시스플라틴 및 브레오마이신과 결합된 에토포시드
아자티오프린
클로나파진
포름알데히드
시클로포스파미드

 


황겨자
티오테파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 클로로메틸에테르(기술 등급)
부술판
디에틸스틸베스트롤
2,3,4,7,8-펜타클로로디벤조퓨란
3,4,5,3',4'-펜타클로로비페닐(PCB-126)
린데인(헥사클로로시클로헥산 참조)
사이클로스포린
페나세틴
알코올 음료의 에탄올
콜타르 피치
에리오나이트
셰일 오일
벤젠
플루토늄
토륨-232 및 그 붕괴 생성물
비소 및 무기 비소 화합물
베릴륨과 베릴륨 화합물
카드뮴과 카드뮴 화합물
염화비닐
알코올 음료 소비와 관련된 아세트알데히드
산화에틸렌
1,2-디클로로프로판
트리클로로에틸렌
콜타르 증류
펜타클로로페놀(폴리클로로페놀 참조)
2-나프틸아민
4-아미노비페닐
벤지딘
오르토톨루이딘

 

발암물질 2A군

발암 2A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물질로서, 총 94종이 있습니다.

 

2A군에는 아크릴아미드(고온 조리, 특히 고온에서 탄화된 음식물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감자, 과자, 빵, 과일 등에서 발견됩니다.)

 

하지만, 야간근무, 이미용 종사자는 다소 납득이 불가능합니다. 소고기,돼지고기 등 붉은색 살코기는 또 왜 발암물질로 등록이 되어있는지도 이해 불가죠.

 

안드로겐성(단백동화) 스테로이드
아트 글라스, 유리 용기 및 프레스 제품(제조)
바이오매스 연료(주로 목재), 가정용 연소로 인한 실내 배출물
탄소 전극 제조
튀김, 고온 조리
미용사 또는 이발사(직업상 노출)
인유두종바이러스(HPV) 68형
납 화합물, 무기물
말라리아(홀로엔데미닉 지역에서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 감염으로 발생)
메르켈 세포 폴리오마바이러스(MCV)
야간근무
내인성 질소산화를 초래하는 조건에서 질산염 또는 아질산염(흡입)
비 비소성 살충제(살수 및 적용 시 업무상 노출)
석유 정제(직업상 노출)
적색육(소고기, 돼지고기등의 붉은색 살코기)
가용성 코발트(II) 소금
3가 안티몬
65°C 이상에서 매우 뜨거운 음료(음료수)
스티렌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이브로마이드
아크로레인
글리포세이트
피오글리타존
1,3-프로판 설톤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말라티온
인산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
테트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
1-(2-클로로에틸)-3-시클로헥실-1-니트로수레아(CCNU)
오르토-아니시딘 염산염(오르토-아니시딘 참고)
3,3',4,4'-테트라클로로아조벤젠
아닐린 염산염(아닐린 참조)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비스클로로에틸니트로수레아(BCNU)
시스플라틴
디벤조[a,l]피렌

 


인화 인듐
디벤즈[a,j]아크리딘
아드리아마이신
카파폴
사이클로펜타[cd]피렌
테니포시드
히드라진
클로랄 수화물
아자시티딘
디아지논
프로카르바진 염산염
탄화규소 수염
5-메톡시포랄렌
DDT(4,4'-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질소 머스타드
에틸 카바메이트(우레탄)
디벤즈[a,h]안트라센
1,2-디메틸히드라진
클로로조토신
N-니트로소디에틸아민
1-니트로피렌
글리시돌
클로람페니콜
브롬화비닐
폴리브롬화비페닐
딜드린, 그리고 알드린이 딜드린으로 대사 됨
아닐린(염화 아닐린 참조)
N-니트로소디메틸아민
황산 디에틸
비투멘, 산화된 비투멘에 대한 직업상 노출 및 지붕 작업 중 방출
메틸메탄설폰산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N-니트로수레아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MNNG)
1,1,1-트리클로로에탄
코발트 금속(탄산 텅스텐 또는 기타 금속 합금 제외)
텅스텐 카바이드를 사용한 코발트 금속
6-니트로크라이젠
플루오르화비닐
디클로로메탄(염화메틸렌)
2-브로모프로판
클로랄
N-에틸-N-니트로수레아
IQ(2-아미노-3-메틸이미다조[4,5-f]퀴놀린)
디메틸 황산염
아크릴아미드
디메틸카르바모일염화물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크로소테스
2-니트로톨루엔
오르토-아니시딘(오르토-아니시딘 염산염 참조)
오르토-니트로아니솔
4-클로로오르토톨루이딘
스티렌-7,8-옥사이드
1,2,3-트리클로로프로판
α-염화톨루엔(염화벤잘, 염화벤조티클로라이드, 염화벤질) 및 염화벤조일(복합노출)

 

발암물질 2B군

발암 2A군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서, 총 322종이 있습니다.

 

야채절임 (장아찌, 김치), 코코넛 오일, 스마트폰, 임플란트 등도 발암물질 2B군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놀랍습니다. 

 

이번에 제로 음료나, 중국산 김치, 막걸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공감미료 아스파탐 역시 이 발암물질 2B군에 등록될 예정이라 합니다. 

 

인공-감미료-아스파탐-사카린-액상과당
아스파탐등 인공감미료 자세히 알아 보기

 

알로에 베라, 전엽 추출물
주혈흡충 (에 감염)
아레콜린
BK 폴리오마바이러스(BKV)
아스팔트, 단단한 비투멘에 대한 직업상 노출 및 매스틱 아스팔트 작업 중 방출
고사리과
목공 및 접합부
평균 탄소 사슬 길이 C12의 염소화 파라핀과 평균 염소화 정도 약 60%
클로로페녹시 제초제
디젤 연료, 해양
드라이클리닝(직업상 노출)
엔진 배기가스, 가솔린
연료 오일, 잔류(중)
휘발유.
황금빛 실 뿌리 가루
헥사클로로시클로헥산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제2형(감염)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유형 26, 53, 66, 67, 70, 73, 82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유형 30, 34, 69, 85, 97
인유두종바이러스(HPV) 5형 및 8형(표피형성증 환자의 경우)

 


금속 코발트, 금속 니켈 및 니켈 66-67%, 크롬 13-16% 및 철 7%를 포함하는 합금 분말의 주입된 이물질
JC 폴리오마바이러스(JCV)
자기장, 초저주파
얇고 매끄러운 필름으로 준비된 금속 임플란트
메틸수은 화합물
절인 야채(전통적인 아시아 음식, 장아찌, 김치등)
폴리클로로페놀 및 그 나트륨 염(혼합 노출)(펜타클로로페놀, 2,4,6-트리클로로페놀 참조)
얇고 매끄러운 필름으로 제조된 고분자 임플란트(폴리글리콜산 제외)
인쇄 프로세스(직업 노출)
프로게스틴
프로게스토겐 전용 피임약
고주파 전자기장
내화 세라믹 섬유
E-glass 및 '475' 유리 섬유와 같은 특수 용도 섬유
섬유제조업 (업종)
무기급 텅스텐(니켈 및 코발트 포함) 합금
4-클로로니트로벤젠
파라니트로아니 솔
4-비닐시클로헥센
에틸벤젠
N-니트로소피페리딘
스테리마토시스틴
미슐러 염기 [4,4'-메틸렌비스(N,N-디메틸)γ벤제나민]
4,4'-메틸엔디아닐린
4,4'-다이아미노디페닐에테르
디글리시딜레조르시놀에테르
마이크로시스틴-LR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PhIP(2-아미노-1-메틸-6-페닐이미다조[4,5-b]피리딘)
3,7-디니트로플루오로안텐
N-니트로소메틸아민
파라-디클로로벤젠
파라클로로아닐린
4-비닐시클로헥센다이옥사이드
1,2-에폭시부탄
1-브로모프로판
1,2-디클로로에탄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멜라민
1-브로모-3-클로로프로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푸란
피리딘
블레오마이신
디에탄올아민
N-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
아자린
클로렌딘산
푸사륨 모노리폼, (푸모니신 B1, 푸모니신 B2 및 푸사린 C) 유래 독소
푸모니신 B1
단트론(크라이사진; 1,8-다이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디(2-에틸헥실)프탈레이트
헥사클로로벤젠
벤조페논
3,3'-디메톡시벤지딘(오르토-디아니시딘)
3,3'-디메틸벤지딘(오르토-톨리딘)
안트라센
파라크레시딘
카테콜
2,4-디니트로톨루엔
Palygorskite (Attapulgite) (장섬유, > 5 마이크로미터)
디페닐아민
페닐글리시딜에테르
1,2-디페닐히드라진
β-미르센
1,4-다이옥산
메틸아르손산
프리미돈
그리소풀빈
질소 머스타드 N-산화물
클로로프렌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메틸-1-니트로안트라퀴논(불확실한 순도)
1-하이드록시안트라퀴논
류코말라카이트 그린(말라카이트 그린 참조)
산화코발트(II)
삼산화몰리브덴
오산화 바나듐
오르토페닐페네이트 나트륨
N-니트로소사르코신
카본블랙
이산화티타늄
컵페론
염산 페나조피리딘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그 염
4,4'-티오디아닐린
아람산염®
에틸아크릴레이트
티오우라실
2,4-헥사디안

클로르데콘 (케포네)
Talc 기반의 바디 파우더(일회용)
사이카신
아지리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기술 등급
1,2-디에틸히드라진
벤질 바이올렛 4B
3-니트로벤즈안트론
니트로펜(기술 등급)
스트렙토조토신
디벤조[a, 디벤조피렌
디벤조[a,h]피렌
클로로살로니
인데노[1,2,3-cd]피렌
7H-다이벤조[c,g]카르바졸
벤조[c]페난트렌
벤츠[j]아세안트리렌
벤조[j]플루오로텐
벤조[b]플루오로텐
벤조[k]플루오로텐
디곡신
다우노마이신
크리센
테트라클로르빈포스
디벤즈[c,h]아크리딘
3,9-디니트로플루오로안텐
디벤즈[a,h]아크리딘
리델리인
미렉스
1-부틸글리시딜에테르
CI 다이렉트 블루 15
분산 블루 1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BHA)
트랜스-2-[(디메틸아미노)메틸이미노]-5-[2-(5-니트로-2-퓨릴)-비닐]-1,3,4-옥사디아졸
A-알파-C(2-아미노-9H-피리도[2,3-b]인돌)
오일 오렌지 SS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벤조퓨란
HC블루 1호
CI 다이렉트 블루 218
3,3'-디클로로-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디이소프로필 황산염
라시오카르핀
오크라톡신 A
지도부딘 (AZT)
β-부티로락톤
탄소 나노튜브, 다중벽 MWCNT-7
탄화규소, 섬유질
모노클로탈린
디브로모아세토니트릴
2,2-비스(브로모메틸)프로판-1,3-디올
카페산
과불화옥탄산(PFOA)
폰소 3R
2-(2-포르밀히드라지노)-4-(5-니트로-2-퓨릴)티아졸
AF-2 [2-(2-퓨릴)-3-(5-니트로-2-퓨릴) 아크릴아미드]
5-메틸크라이젠
펜토산폴리설페이트나트륨
폰소 MX
나페노핀
5-(모르포리노메틸)-3-[(5-니트로퍼퓨릴리덴)락타미노]-2-옥사졸리디논
트리암테렌
크로톤알데히드
1,6-디니트로피렌
1,8-디니트로피렌
다카르바진
메트로니다졸
N-니트로소메틸비닐아민
오라민
페노바르비탈
미토마이신 C
테트라니트로메탄
산화 인듐 주석
프로필티오우라실
암사크린
1-클로로-2-메틸프로펜
메르팔란
N-[4-(5-니트로-2-퓨릴)-2-티아졸릴]아세트아미드
Carragenan, 열화됨(Poligenan)
아질산 이소부틸
1,3-디클로로프로펜(기술 등급)
젠티안 바이올렛(레우코겐티아 바이올렛 참조)
1-[(5-니트로퍼퓨릴리덴)아미노]-2-이미다졸리디논
브로모클로로아세트산
메틸티오우라실
사염화탄소
파라티온
벤츠[a]안트라센
3-클로로-2-메틸프로펜, 기술 등급
CI 베이직 레드 9
1,1-디메틸히드라진
페니토인
β-프로피오락톤
클로데인
1-터트-부톡시프로판-2-올
4-니트로피렌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N-니트로소모르핀
아세트산메틸아세트산메틸아세트산메틸
술파살라진
파라아미노아조벤젠
파라-디메틸아미노아조벤젠
아세트아미드
3-(N-니트로소메틸아미노)프로피오니트릴
5-니트로아세나펜
옥사제팜
2,6-디니트로톨루엔
2-니트로플루오로렌
니리다졸
2,4-디클로로-1-니트로벤젠
N,N'-디아세틸벤지딘
2,4-다이아미노아니솔
오르토-페닐렌디아민 이염화물
N-메틸-N-니트로소우레탄
에틸메탄설폰산
티오아세트아미드
디클로르보스
N-니트로소디-n-프로필아민
Trp-P-1(3-아미노-1,4-디메틸-5H-피리도[4,3-b]인돌)
Trp-P-2(3-아미노-1-메틸-5H-피리도[4,3-b]인돌)
페녹시벤자민 염산염
1,1,1,2-테트라클로로에탄
디브로모아세트산
마젠타
시트러스 레드 2호
CI 애시드 레드 114
미톡산트론
유라실 겨자
클로로포름
헥사클로로에탄
글루-P-2(2-아미노디피리도[1,2-a:3',2'-d]이미다졸)
글루-P-1(2-아미노-6-메틸디피리도[1,2-a:3',2'-d]이미다졸)
헥사메틸포스포라미드
MeA-알파-C(2-아미노-3-메틸-9H-피리도[2,3-b]인돌)
코코넛 오일 디에탄올아민 응축액

 


2-메틸이미다졸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아세테이트
2-아미노-5-(5-니트로-2-퓨릴)-1,3,4-티아디아졸
트리판 블루
니켈, 금속
잘시타빈
아세트알데히드
브로모디클로로메탄
염화비닐리덴
니트로메탄
2-메틸아지리딘(프로필렌이민)
프로필렌 옥사이드
디메틸아르신산
1,3-디니트로피렌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헵타클로르
글리시달알데히드
페놀프탈레인
MeIQ(2-아미노-3,4-디메틸이미다조[4,5-f]퀴놀린)
3-클로로-4-(디클로로메틸)-5-히드록시-2(5H)-퓨라논
MeIQx(2-아미노-3,8-디메틸이미다조[4,5-f]퀴녹살린)
브롬산칼륨
이소포론
이소프렌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디클로로아세트산
2-니트로프로판
판푸란 S(디히드록시메틸푸라트리진 함유)
톡사펜(폴리염화 캄페네스)
비투멘, 직선 비투멘에 대한 직업상 노출 및 도로 포장 중 배출물
1-아미노-2,4-디브로모안트라퀴논
트리클로르메틴(염화 트리무스틴)
4-메틸이미다졸
4,4'-메틸렌 비스(2-메틸아닐린)
안트라퀴논
카르바졸
디메틸인산수소
2.6-디메틸아닐린(2,6-자일리딘)
2,4,6-트리클로로페놀(폴리클로로페놀 참조)
2-클로로니트로벤젠
1,4-디클로로-2-니트로벤젠
풀곤
미슐러의 케톤 [4,4'-비스(디메틸아미노)γ벤조페논]
카바 추출물
철-덱스트란 복합체
은행나무 추출물
나프탈렌
퀴놀린
3,3'-디클로로벤지딘
N-니트로소디-n-부틸아민
N-메틸아크릴아미드
메틸루게놀
N-니트로소피롤리딘
디히드로사프롤
사프롤
2,4-D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클로로페녹시 제초제 참조)
설팔레이트
오르토페닐렌디아민
2,4-다이아미노톨루엔
4-클로로오르토페닐렌디아민
2-아미노-4-클로로페놀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2,3-디브로모프로판-1-올
1,3-디클로로-2-프로판올
3-모노클로로-1,2-프로판디올
메틸아크릴레이트
오르토아미노아조톨루엔
메타크릴산부틸
푸르푸릴 알코올
4-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쿠메네
α-메틸스티렌
니트로벤젠
N,N-디메틸-p-톨루이딘

 

이상과 같이 발암물질 1군, 2A군, 2B군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예상치 못했던 물질들도 발암군에 속해 있다고 하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2B군으로 분류된 김치(야채절임) 같은 경우는 흔히들 유산균이 많고 항암 작용을 하는 유익한 우리의 전통음식으로 알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질산이 많다는 이유로 2군 발암물질로 지정이 되어 있다는 것이 참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입니다.

 

발암성을 확인하는데 인체 실험을 할 수는 없습니다. 실험동물에 투여할 때 발암성이 의심되지만 사람에게는 유연성이 확인되지 않을 시 2A군으로 지정되는데 애매한 부분이 없지 않을 우 없습니다.(붉은색 살코키가 2A 발암물질)

 

아스파탐 역시 소량으로 섭취 시에는 인체에 무해 하다고 하는 연구결과도 있으나, 다량으로 섭취시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정되는 것으로 아는데,  하루 섭취량 체중 1kg당 40mg 이하로 섭취하면 안전하다고 하는데, 이는 하루에 탄산음료 약 15~20캔 정도 마셔야 하는 양이기 때문에 실제로 과 섭취하기는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어찌 됐든, 어떤 물질이 되었건 과한 건 부족한 거만 못하다는 말처럼, 스스로 적정량을 섭취하여,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