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표준명 '무'는 맞춤법 개정 전 '무우'라고 표기되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무우'가 아닌 '무'라고 표기되는 것이 맞는데요, 오늘은 시원하고 알싸한 단맛이 특징인 무의 다양한 종류인 조선무, 왜무, 열무와 표준명이 '총각무'인 알타리무의 차이점 및 무의 영양성분과 효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복지무와 남지무
무의 종류를 다루기 앞서 복지무와 남지무란 무엇인지 차이점을 알아야 합니다. 무가 유래된 지역의 차이에 따라 맛과 형태가 다르며, 사용 용도도 달라집니다.
1. 복지무
중국 북부 지방에서 재배하는 무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토종무로 자리 잡은 무를 말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무의 형태를 지녔으며, 흔히 '조선무'라 불립니다.
깍두기, 동치미, 무말랭이, 육류나 생선찜의 부재료, 찌개, 조림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며, 둥글고 기다란 형태를 띱니다.
2. 남지무
중국 남부지방, 동남아시아, 일본 등지에서 재배하는 무로, 흔히 일본무, 왜무라고 불립니다.
복지무의 교배종으로 하얗고 긴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단무지, 생채등에 사용됩니다.
조선무
복지무의 대표적인 품종인 조선무는 둥근 모양 특징이어서 등근무, 복지무의 대표적 품종이라 복지무라 부르기도 합니다.
주요 품종으로는 진주대평무·중국청피무·용현무·의성반청무 등이 있으며, 뿌리의 지름이 7-8cm, 길이가 20cm 정도 되며, 무게는 800-900g 정도입니다. 재배기간은 약 3개월이며, 얼지 않게 흙 속에 저장하면 다음 해 봄까지 저장이 가능합니다.
같은 흰무에 속하는 왜무보다 둥글고 단단하며 윗부분이 푸릅니다. 윗부분이 푸른 이유는 땅 위로 올라와 광합성 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콩나물을 재배할 때 암막을 덮어 주면 노란 콩나물이, 암막을 덮지 않고 햇빛을 보여 주면 파란 콩나물이 생산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광합성을 한 윗등 파란 부분은 보다 달콤하기 때문에 조림용으로, 땅속에 묻혀 있던 흰 부부는 알싸한 매운맛과 시원함이 더 강하기 때문에 육수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시면 더 좋습니다.
조선무는 일반적인 김치의 부재료 혹은 깍두기, 섞박지등과 같은 무김치 등 무가 들어가야 하는 요리에 대부분 사용됩니다.
- 무국 , 무말랭이, 샐러드, 찜, 조림, 볶음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됩니다. 조선무는 한국 요리의 중요한 재료 중 하나로, 한국 식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조선무는 크기가 크고 백색이며, 달콤하고 촉촉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10월 ~12월 경인 겨울철에 생산되는 것이 맛이 좋습니다.
무청은 열무에 비해 억세므로, 잘 말려서 시래기로 활용되며, 무를 잘게 썰어 말리면 무말랭이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총각무(알타리무)
총각무는 복지무 중 작은 무 품종을 말하는데, 표준명은 총각무이나, 알타리무, 달랑무 등으로 불려지기도 합니다.
총각무의 총각은 '상투를 틀지 않고 머리를 땋아서 묶은 결혼하지 않은 성년 남자'를 뜻하는 용어로, 무청(무의 잎과 잎줄기)의 생김새가 총각의 땋은 머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입니다.
총각무는 둥근 호리병 모양의 무가 달려 있으며, 일반무와는 다르게 줄기가 억세지 않고, 맵지 않으며, 아삭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무의 길이는 8~9cm, 무게는 80 ~ 100g 정도이며, 무청에 들어 있는 비타민C의 함량은 사과의 10배에 달합니다.
재배 기간이 짧은 것이 특징인데, 파종한 뒤 90일 정도 지나면 뿌리의 무게가 약 100g이 되어 수확할 수 있습니다.
수확 시기는 재배하는 지역과 파종한 시기, 품종의 특성, 관리 방법 등에 따라 다릅니다. 시설재배의 일종인 터널 알타리무의 경우 2~3월에 파종하여 4~5월에 재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노지재배인 노지 알타리무의 경우 5월 중순경에 파종 후 35일 전후에 수확합니다.
신진봄알타리무·풍악알타리무·보석알타리무·한성알타리무·예쁜알타리무·미진알타리 등의 품종이 있으며, 밑동이 윗부분보다 굵고 단단하며 크기가 고른 것이 좋으며, 무청은 연하고 길이가 짤막한 것이 좋습니다.
쓰임새는 총각김치(총각무김치)를 담그는 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데, 줄기가 억세지 않기 때문에 무청까지 함께 김치를 담가 먹습니다. 총각김치는 남쪽 지방에서 만들어 먹기 시작한 김치로, 김장을 담그기 전에 총각무동치미(총각무동치미)와 함께 담가서 배추김치보다 일찍 먹습니다.
무는 잔 것은 통째로, 굵은 것은 2쪽 또는 4쪽으로 쪼개어 사용하는데, 자르지 않은 채로 담가야 아삭한 맛이 오래갑니다. 멸치젓 대신 새우젓이나 조기젓 또는 황석어젓을 넣으면 빨리 시지 않고 색도 변하지 않습니다. 총각깍두기(총각무깍두기)는 무청째로 담근 깍두기를 말합니다.
열무
여린 무라는 뜻에서 열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습니다.
어린 무 → 여린 무 → 열무
이름만 어린무에서 유래된 것이지 실제로 덜 자란 무를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여린 무이기 때문에 줄기가 연하고 맛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총각무는 열무에 비해 무가 크고 호리병 모양인 반면에 열무는 우리가 흔히 무라고 부르는 뿌리 부분이 매우 작고 뾰족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뿌리와 함께 잎으로 김치를 담는 것이 특징입니다. 바로 아삭하고 연한 식감이 일품인 열무김치가 그것입니다.
고를 때에는 키가 작고 무 부분이 날씬한 어린 열무를 택하는 것이 좋은데, 잎이 너무 가늘면 빨리 무르므로 도톰한 것을 고르도록 합니다.
늙은 열무는 무 부분이 통통한 데다 잔털이 많아 억세므로,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쓰임새는 열무김치를 담그는 데 가장 많이 이용되며, 열무냉면이나 열무국수를 만들어 먹는 데도 이용됩니다.
잎은 날 것으로 먹어도 좋고, 데쳐서 물에 담갔다가 참기름을 둘러 볶아 먹으면 비타민C와 비타민A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습니다.
잎이 금방 시들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먹도록 하고, 남은 것은 신문지나 주방타월로 감싸서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무
왜무, 일본무는 일본에서 들어온 무를 말하는 데 남쪽 지방에서 많이 생산되어 남지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 단무지 담글 때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단무지무라고도 불립니다.
둥글고 단단하며 윗부분이 절반가량 푸른 조선무와 달리, 수분이 많으며 몸이 희고 길고 가늘며, 윗부분에 푸른빛이 도는 종류도 있으나, 조선무에 비해 푸른 부분이 적습니다. 거의 흰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한국에서는 주로 단무지 용으로 재배하며,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미농조생무·청수궁중무 등이 있으며, 대부분 단무지공장으로 직행하기 때문에 시중에서 찾아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왜무는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고 조선무처럼 딱딱하지 않고 달고 매콤한 맛도 부족해 동치미나 깍두기용으로는 부적합합니다. 일본 소바집에서 갈아 나오는 무를 생각해 보면 수분이 많다는 걸 아실 수 있습니다.
김치용으로 사용되기 쉽지 않으므로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도태되었으며, 주로 단무지나 생채용으로만 사용됩니다.
무의 영양성분
1. 무는 비타민 C의 풍부한 원천 중 하나입니다. 비타민 C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작용하여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무는 식이 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소화를 촉진하고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식이 섬유는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고 심장 건강을 촉진합니다.
3. 비타민K는 무에 함유된 중요한 비타민 중 하나로, 혈액 응고에 필요하며 뼈 건강을 지원합니다.
4. 무는 파티산이라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5. 무는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혈압 조절에 도움을 주며, 신경 및 근육 기능을 지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