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21대 대선 날짜 임기 선거권 투표권 나이
본문 바로가기
생활&여행

22대 총선 21대 대선 날짜 임기 선거권 투표권 나이

by 요설남 2024. 3. 28.
반응형

2020년 공직 선거법이 개정되면서 만 18세 이상 청소년들도 선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2024년 총선은 만 18세 이상이면 투표를 할 수 있으며, 총선날짜가 4월 10일 이므로 2006년 4월 11일에 태어난 사람까지 투표권이 보장됩니다. 오늘은 22대 총선, 21대 대선 날짜 및 선거권 보장 나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총선-대선
총선 대선

 

22대 총선

총선이란 '모두 총', '뽑을 선'의 뜻으로 국회의원 전부를 한꺼번에 선출하는 선거를 말합니다. 

 

22대 총선은 2024년 4월 10일 수요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사전 투표기간은 4월 5일 금요일 ~ 4월 6일 토요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이번 22대 총선은 2006년 4월 11일 출생일까지 투표권이 주어집니다.

- 2006년에 태어났지만 생일이 4월 12일이라면 아쉽지만 다음 선거에 선거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국회의원 임기는 4년으로 2024년 5월 30일부터 2028년 5월 29일입니다. 

 

국회-의원-선거-기간-피선거권-후보-등록
국회의원 선거일 선거기간 임기 피선거권 후보등록 기탁금등 선거관련 상식 자세히 알아보기

 

신분증

선거권자는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하고 투표에 참여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증 외에도 여권, 운전면허증, 공무원증,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복지카드, 학생증 등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첨부된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이어야 합니다. 

 

- 유효기간이 지난 여권, 운전면허증도 이름과 사진 등의 확인을 위한 절차라 투표 시에 신분증으로 인정이 됩니다. 

 

- 다른 신분증도 없고 주민등록증도 분실한 상태라면, 주민등록증 발급신청 확인서를 발급받아서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신분증도 가능하지만 캡쳐본이나 저장된 이미지는 불가하오며, 꼭 pass앱이나 카카오톡 지갑 같은 신분증 앱을 실행하여 보여 줘야만 인정이 됩니다. 

 

 

21대 대선

대한민국 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대선날짜는 별다른 이변이 없는 한 2027년 3월 3일입니다. 

- 대통령 선거는 현 대통령의 임기일 70일 전에 실시합니다. 

 

별도의 공직선거법 개정 또는 이변으로 인해 임기가 조기에 끝나지 않는 한, 20대 대통령의 임기는 2022년 5월 10일 ~ 2027년 5월 9일까지입니다. 

 

- 우리나라는 5년 단임제이며, 미국은 4년이며 연임 중임이 가능합니다.(3선은 불가)

 

단임제 한 번만 대통령 재임 가능
연임제 현직 대통령이 차기 대선에 출마해서 연속으로 재임 가능
중임제 대통령직을 마치고 다른 활동을 하다가 다시 대통령직 수행가능 (연임제 포함)

 

 

면책-특권-종류
대통령 불소추권과 국회의원 면책특권 그리고 불체포특권과의 차이점 자세히 알아보기

 

 

19대 대통령부터 취임일이 2월 25일에서 5월 10일로 변경되었습니다. 

-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해 대통령선거일이 앞당겨졌고, 그로 인해 대통령 취임식도 변경된 것입니다. 

 

20대 대선은 2022년 3월 9일이었으며, 당시 선거 때는 2004년 3월 10일생까지 투표권이 있었습니다. 

-21세기 출생자가 처음으로 대통령선거권을 갖게 된 해입니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임에 따라 국회의원 선거와는 달리 5년에 한 번씩 열리기 때문에 21대 대통령선거는 2009년 3월 4일 (현재 15세) 출생자까지 선거권이 주어집니다. 

 

특히 2007년생은 약 50만 명으로 21대 대선에 영향을 끼칠만한 요인이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